2015년도 1학기 근대미학 수업 1주차
수업 Handout을 기반하여 작성
1. 근대(현대 modern)’ 내지 ‘탈-근대(탈-현대 Post-modern)’ 시대 구분의 문제
*Post-modern이라는 말은 1958년 건축 분야에서 나왔고 20년후 리요타르가 <포스트모더니즘의 조건>에서 이를 수용한다.
- 사실상 서구화와 동의어인가?
- 시대구분의 문제에서 계승과 단절,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동시성을 인정하고 감내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?
- 그렇지만 dogmatic validity가 있음. 번역하자면 독단적 설득력인데, 여기서의 독단은 대부분 사람들이 보기에 개연성이 커보이는 것을 의미한다.
2. 근대 세계 형성을 위한 시대적 배경
1) 르네상스 (14세기 초반~16세기 전반)
- 인간적 세계에 대한 관심, 즉 구체적이며 현실적인 인간과 인본주의적 세계에 주목
- 개성의 발견과 창조
- 인문주의자들의 고전 문한 복원
* 르네상스 시작 지점 중 하나: 1350년 페트라리카가 프랑스 산을 넘으며 처음으로 자연을 Landscape로 바라봄. 이로써 더 이상 알 수 없는 미지의 것이 아니라, 미적 관조를 할 수 있는 아름다움의 대상이 되었다.
2) 종교개혁(16세기 후반~17세기 전반)
- 개인과 신을 매개하는 것이 신학자가 아니라 개인이 되었다.
- 1460년경 구텐베르크 성서 출간
3) 시민사회의 성립
- 르네상스 휴머니즘 등장: 자본주의, 민주주의 이념, 개인주의, 자유주의
- 특히 자본주의는 자기이익의 추구를 존재의 목적으로 생각하는 합리적인 개인을 낳는다: 홉스(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), 존 로크(노동가치설 주장)
- 개인의 시민권 소유(사적)와 국가에 대해 권리(공공성)을 요구하는 자유의 확대
4) 중세의 신학적-기독교적 세계관의 붕괴
- 중세 말에 등장한 유명론(명목론) 득세: 인간들이 약속한 것뿐 <-> realism: 본질 존재한다
- 가치 영역들의 분화: 각 영역이 독자적인 하부체계가 되어 작동한다: 베버의 ‘합리화(탈-마법화)’ 과정과 하버마스의 수용
3. 근대미학의 등장을 위한 문화적, 사상적 배경
1) 인간 주체에 대한 사유의 변화
- 성경 창세기의 Imago Dei(신의 이미지)에 대한 인간중심적이며 인간적인 해석 등장(르네상스 사상가 Pico). 이전까지는 인간을 신의 피조물로만 보았다면, 이제는 인간이 신만큼 창조능력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대두되었다.
- 17세기에 와서는 지성, 사유능력, 판단능력 등 인간의 능동적인 가능성과 잠재력에 주목했다. 특히 데카르는 지성이 신의 가장 공평한 선물이라며, 인간은 본유관념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보았다.
2) 현세적 자연주의의 강화
- 선형 원근법의 정립으로 대상을 철저하게 기하학적으로 구조화하게 되었다.
- 풍경화로서의 자연 등장: 17세기 네덜란드 풍경화와 정물화의 발전. 즉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졌다.
3) 예술 활동의 세속화와 예술 개념의 변화
- 종교에서 자율적이게 되었다.
- 르네상스 시대까지 유지되었던 ‘자유로운 기예들 vs 통속적 기예’로부터 ‘아름다운 예술 (fine arts)’ 개념 등장. 즉 정신적 예술 + 조형적 예술 합쳐진다.
4) 18세기의 주요 사회적, 문화적 특징들
- 민족국가 설립과 함께 학문의 기술적 발전 제도적 지원
- 역사(신화), 회화와 조각, 시와 연극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과 긴장 관계 … 레싱, <Laocon>
오리엔탈리즘
근대적 자연 감정: 이상적-목가적 자연, 숭고한 자연 경탄
5) 의미있는 경험을 획득하기 위한 ‘주관적 가능성(조건)’을 해명하는 과제
- ‘인식론적’ 연구의 심화, 심리적-경험적 관찰, 근본원리 규명, 분석적 방법 등을 적용
- 대륙의 합리주의적 전통과 영국의 경험론 전통: 이들은 전반적으로 계몽주의적 태도를 견지했으며, 인간의 지성, 이성, 기억, 지각, 감각, 감정(정념), 상상에 대한 세미한 이론적 분석을 시도
- ‘심미적 경험’(대표적으로는 대상의 아름다움과 숭고함에 대한 경험)의 보편성에 대한 문제 대두: 이를 위해 ‘고유한 능력(Taste, Geschmack)과 이 능력의 고유한 원리를 해명하는 일이 중요한 이론적 과제로 부상
6) 미적(미감적, 심미적 aesthetic )경험과 예술교육이 지닌 사회적, 문화적, 정치적 중요성
- 근대세계의 ‘균열’과 ‘분리’를 넘어서는 치유와 종합의 과제 : 마음의 균열이 일어난 것, 즉 합리로 치우친 것 비판
- 근대 관료주의-국민경제 국가의 등장과 시민 교육 체제의 성립
*19세기 쉴러: 인간 감성을 사회정치에서 해방시키자, 이것을 예술이 할 수 있다 … 현재 랑시에르가 이어받음.
'강의, 텍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대미학_카시러, 미학의 근본 문제 (0) | 2015.05.17 |
---|---|
아니 에르노 장편소설, <단순한 열정> (0) | 2015.05.02 |
미학문헌연습_1슈미츠 관련 논문 (0) | 2015.04.28 |
근대미학_2D.Hume (0) | 2015.04.26 |
바디우의 사랑에 대한 사유 (0) | 2015.04.23 |